반응형

김영한님의 스프링입문강의를 보고 작성된 글입니다!

 

웹 개발 방법 3가지 

1.정적컨텐츠

서버에서 하는거 없이 웹 브라우져에 내려주는거 (간단하다)

파일 그대로 웹 브라우저에 전달한다

static File

위에 사진에서 static안에 있는 파일은 url에다가 http://localhost:8080/hello-static.html 이러한 형식으로 접근이 가능하다

단, static파일이므로 다른 프로그래밍없이 파일 그대로 보이게 된다.

 

스프링에서는 컨트롤러가 우선순위를 가진다.

그래서 웹브라우저에서 /hello-static.html을 요청하게 된다면 톰켓 서버에서 스프링 컨테이너에게 관련 컨트롤러를 먼저 물어보고,

없다면 static안에 있는 파일을 가져오게 된다

 

2.MVC와 템플릿엔진

MVC  == Model, View, Controller

 

Model  :  데이터베이스 테이블과 같은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 엔터티를 나타내는 엔터티로 구현된다.

데이터 지속성, 유효성 검사 및 기타 비즈니스 규칙을 관리한다.

 

View  :  화면과 관련된 일을 수행한다.

Thymeleaf, JSP와 같은 템플릿 엔지을 사용해 구현하고 이러한 템플릿 엔진을 황용하여 HTML 또는 XML템플릿과 결합하여

HTML로 랜더링클라이언트의 브라우저로 보낼 최종 뷰를 생성한다.

 

Controller  :  모델과 뷰 사이의 중개자 역활을 수행한다.

사용자로부터 요청을 받아 처리하고 모델과 상호작용하여 데이터를 검색,업데이트를 통해 응답을 렌더링한다.

특정 HTTP요청을 처리하고 응답을 반환하는 메서드를 정의한다.

 

3.API

json이라는 데이터 구조 포멧을 통해서 클라이언트한테 전달함 

현재 Json형태를 많이 사용하지만 예전에는 xml형태도 많이 사용했다

@ResponseBody를 통해 객체를 JSON으로 반환하는게 기본이다.

 

@ResponseBody를 사용해서  HTTP의 BODY에 문자 내용을 직접 반환

기본 문자처리  StringHttpMessageConverter

기본 객체처리  MappingJackson2HttpMessageConverter

을 기본으로 사용한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