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한 기능을 실행해서 테스트를 할 때 자바의 main메서드를 통해서 실행하거나 웹 애플리케이션의 컨트롤러를 통해서
테스트를 진행할수 있는데, 실행하는데 오래 걸리고 반복 실행하기 어렵고 여러 테스트를 한번에 실행하기 어렵다.
테스트는 각각 독립적으로 실행되어야 하고, 테스트 순서에 의존관계가 있는 것은 좋은 테스트가 아니다.
따라서 자바의 JUnit이라는 프레임워크로 테스트를 실행한다.
JUnit 이란
java 애플리케이션용 오픈 소스 테스트 프레임워크이다.
단위 테스트를 작성하고 실행을 간단히 하고 편리한 방법을 제공한다.
JUnit의 대표적인 역할
Test Annotations : JUnit 테스트는 테스트 클래스 내의 메서드로 작성된다.
*주석이다. ( @ 붙임)
@Test : 실행해야 하는 테스트 메서드를 식별한다.
@AfterEach : 테스트 메서드 후 실행되어야 하는 메서드를 표시한다.
테스트 환경정리 , 변수 재설정, 리소스 해제 또는 필요한 테스트 후 작업 수행을 담당한다 .
-> 다음 테스트가 시작되기전에 각 테스트가 깨끗하고 일관된 상태를 갖도록 한다.
@BeforeEach : 테스트 메서드 전 실행되어야 하는 메서드를 표시한다.
개체 초기화, 종속성 구성 , 테스트환경 준비 와 같이 테스트에 필요한 조건을 설정한다
-> 현재 테스트가 실행되기 전에 일관되게 수행되어 독립적이고 반복 가능한 테스트 실행이 가능하게 만든다.
@BeforeClass 및 @AfterCalss : 해당 클래스의 모든 테스트 메서드를 전후에 각각 한 번 실행되는 메서드를 지정
@Ignore : 테스트 실행 중 무시할 테스트 메서드 또는 클래스를 표시
Assertions : 예상되는 조건을 확인하기 위해 제공하는 것으로 코드 동작의 유효성을 검사하는 데 도움이 된다.
*메서드이다. ( @안붙임)
assertEquals() : 두 값이 같은지 확인한다.
assertTrue() , assertFalse() : 주어진 조건이 각각 참 , 거짓인지 확인한다.
assertNull , assertNotNull() : 각각 값이 null , not null 인지를 확인한다.
assertArrayEquals() : 두 배열이 같은지 확인한다.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 SOLID 5원칙 정의, 장점 (0) | 2023.07.08 |
---|---|
[Spring] IOC / DI 컨테이너의 정의와 역할 (0) | 2023.07.07 |
[Spring]의존성 주입 DI(Dependency Injection) 개념과 Annotation (0) | 2023.07.06 |
[Spring] 웹 브라우저 동작환경 (0) | 2023.07.04 |
[Spring Boot] 스프링 웹 개발 기초(MVC) (0) | 2023.06.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