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적인 동작 방식
라이브러리 dependency설정 , persistence.xml 설정을 진행 해줘야한다.
이후

JPA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EntityManagerFactory을 만들어야한다.
EntityManagerFactory는 프로그램당 하나가 존재하고 뒤에있는 "hello"는 persistence에서 생성한 파일에 있는 name 을 적어주면 된다.
이후 고객 의 요청이나 DB작업은 모두 EntityManager을 통해서 작업 후 반환 해줘야한다. ( em.close() )
JPA의 모든 작업은 Transaction 안에서 일어나야한다. tx.begin() ---> tx.commit()
tx.commit()(변경사항 저장)
이후 프로그램이 종료될 때 emf.close()로 EntityManagerFactory를 닫아준다.

결국 JPA 는 이런 모습으로 작동한다.
등록

다음과 같은 코드처럼 등록을 하게된다.

다음과 같이 ID 13, NAME 사자 가 생기게 된다.
수정

엔티티 메니저.find 를 활용해서 Member.class에 있는 아이디가 12인 객체를 findMember에 저장하고
객체를 활용해서 setter로 아이디를 바꾸고 Tansaction을 Commit 해주게 되면 변경이 완료된다.
삭제

위 방법과 비슷하게 원하는 class에서 PK을 통해서 원하는 객체를 저장한다음
em.remove() 를 통해서 삭제를 해준 후 tx.commit 으로 변경사항을 저장해주면
삭제가 된다.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자동 생성하기(DDL) (0) | 2023.08.06 |
---|---|
[Spring] 영속성 컨텍스트의 이점 (0) | 2023.08.05 |
[Spring] Lombok 사용법 (0) | 2023.07.28 |
[Spring] @Entity , @Embedded 간단하게 알아보기 (0) | 2023.07.27 |
[Spring] 프로토타입 빈 특징 (0) | 2023.07.21 |